꿈을 먹고 산다.

 

지난 5월에 있었던 일이다.


수년간 바닥을 기던 <삼부토건>이 금년 5월 중순부터 슬슬 오르더니,

 

7월 상한가를 몇 번 쳤다. 9월에도 상한가를 쳤다. 

 

우크라이나 재건이라는 이유였다.

 

전쟁이 끝나지도 않았는데

 

전쟁이 언제 끝날지, 

 

끝나고 나서 삼부토건이 수많은 유명 국제 회사들 중에서 재건에 참여할 수 있을지도 모르는데

 

어찌 상한가를 여러 번 치닫을 수 있는지? 

 

앞으로 이런 일은 전쟁 끝나기 전에 몇 번 더 있을 것이다.


꿈을 먹고 사는 곳이 증시라는데, 현실이 될지 꿈으로 끝날지도 모르고 달려드는 곳이다.

 

 

참고: 2025.6.11 현재  우연히 확인해 보니 347원에 거래정지 상태이다.

          재무 튼튼하지 아니면서 급등락하는 종목은 주의해야 한다.

반응형

'단상[斷想]'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돈이 갑자기 많이 생기면 일어나는  (0) 2023.12.09
강남아줌마  (0) 2023.12.02
인생은 60부터, 적자는 61세부터  (0) 2023.11.30
어떻게 대처할까?  (0) 2023.11.20
저 먼 나라에서 기침만 해도  (1) 2023.11.15

 

저 먼 나라에서 기침만 해도

 

 

트럼프 미대통령시절이었다. 중국과의 관계가 악화일로를 치닫을 때, 

 

중국에서 미국 콩을 수입하지 않겠다고 대응하였다. 

 

콩은 트럼프의 고향인 오하이오주에서 생산되는 주 농산물이다. 

 

그 즉시 우리나라 증시에서는 <사조간장>이 상한가로 치솟았다. 

 

왠 일인가 하여 인터넷 검색을 하니, 

 

콩소비량이 많은 중국이 콩을 수입하지 않으면,

 

콩값이 내릴 것이고, 

 

콩값이 내리면 가장 많이 콩을 소비하는 회사가 덕을 볼 것이라는 것이 증시에 반영된 것이다.


우리 같은 개미는 따라가기 힘든 경지이다. 

 

증시에는 먼 나라에서 일어난 기침소리 듣고도 알아차리는 초고수들이 많은 곳이다.

 

(이런 시장에서 개미가 살아남을 수 있는 방도?)

반응형

'단상[斷想]'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돈이 갑자기 많이 생기면 일어나는  (0) 2023.12.09
강남아줌마  (0) 2023.12.02
인생은 60부터, 적자는 61세부터  (0) 2023.11.30
어떻게 대처할까?  (0) 2023.11.20
꿈을 먹고 산다  (0) 2023.11.15

11/15~1주 관심종목

 

매수 후 

당일: 매수가 + 적당 수익률하여 매도주문

당일 매도되지 않았으면:  매도기간예약하여 놓으면 좋음

적당 수익률? 

     당일:  3~5%

     기간예약 5일 기준: 5~10%

     더 +: 자신의 복임

 

 

종목선정시 챠트에서 고려사항

1. 일봉 혹은 주봉에서 파라보릭 매수신호 화살표. 주봉과 일봉에서 동시발생 더 좋음(일봉 3개봉이내, 주봉 현재봉에서)

   #3이 #2 종가를 돌파

   #1 전고점= 목표가 됨

   #2 직전 장대 화살표의 종가

   #3 현재봉의 종가

   #4 매수화살표

   #5 거래량 및 가격에서 2차 장대 발생

   #6 MACD 화살표

   #7 PVT 상향시작

2. 주봉

   #8 주봉에서 전고점과 그은 선

   #9 주봉 현재봉에서 매수화살표

   MACD 화살표 와 가격 매수화살표 동시발생: 긍정해석

   PVT 긍정

 

 

 

반응형

'오늘의 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도신호에 대해서  (0) 2023.11.15
11/16~1주 & 챠트 스터디  (1) 2023.11.15
챠트공부 1  (0) 2023.11.15
2. 나의 관심종목과 정리법  (0) 2023.11.14
1. 2023/11/14~1주 관심종목  (1) 2023.11.13

나의 관심종목 정리법

 

 

 

1. 날짜 및 그날의 지수---코스피, 코스닥, 다우, 나스닥, 상해지수.

 

2. 간편: 간편 검색 공식에 의한 종목>제외조건 등에 의해 정선 후 관심등록-----자신의 정선 능력을 검증하는 자료가 됨

 

3. 챔피언에서 제공하는 테마/이슈에서 가져옴

 

4. 장대양봉: 종목선정시 가격 및 거래량에서 장대양봉이 생긴 종목을 모은 관심종목.

 

5. 공개종목: 매일 공개하는 종목을 1주간 모은 관심종목.

 

장마감 후 종가를 기준으로 정리함

 

 

첵크표: 당일 시가와 고가 차이가 3% 이상 종목에 첵크표로 나타냄

 

네모칸: 시가순으로 배열 후 1%대에 속한 종목들을 나타냄.

 

자기평가: 자신이 뽑은 관심종목에서 시가와 고가 차이가 3% 이상인 종목이 얼마나 되는지?

                     비율을 높여 가도록 노력 요망.

  

 

관심종목을 시가순으로 배열 후 매수종목을 선택하는 방법은 <8. 깔정파 결론 5개 결론>을 참조해 주세요.

 

 

* 오늘 양대 지수는 하락하였으나, 나의 관심종목들은 3% 이상 상승한 종목들이 많았다.

반응형

'오늘의 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도신호에 대해서  (0) 2023.11.15
11/16~1주 & 챠트 스터디  (1) 2023.11.15
챠트공부 1  (0) 2023.11.15
2023/11/15 ~ 1주 관심종목  (0) 2023.11.14
1. 2023/11/14~1주 관심종목  (1) 2023.11.13
종목명 11/13   종가 11/13
고가
등락률 거래량 시가고가 차% 시가% 고가% 저가% 메모  
유니테크노 3850 3850 29.85 1564072 17.02 10.96 29.85 4.72 자동차부품
LX세미콘 92000 93300 5.5 407989 6.39 0.57 7 -0.11 반도체/서비스
한국파마 23850 26200 11.19 3237280 20.18 1.63 22.14 0.23 제약  

 

매일 2~3개 종목을 공개하고, 이 종목들의 1주(5일) 동안에 최고가능 수익률을 계산합니다. 자신이 뽑은 종목에 대한 신뢰성을 기르는데 목적을 둡니다.

 

활용방법

 

1. 기준가는 11/13일 종가를 기준으로 어느 정도 상승했느냐? 혹은 하락했느냐를 계산합니다.

 

2. 매수가는 각 개인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그날의 시가를 기준으로 합니다.

 

3. 시가는 개장전에 매수주문하였을 때, 시장가로 주문하면 시가에 매수하게 됩니다. 

 

    그러나 개인에 따라 시가보다 더 낮게/높게 매수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시가에 매수하더라도 이런 결과이네>라고 해석하면 됩니다.

 

4. 당일 단타를 할 경우, 3분봉을 기준으로 거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5. 컴퓨터를 보고 있지 못하는 환경인 사람은 매수가를 정해서 매수하고, 매수한 가격에 +수익률을 하여 

    기간예약매도를 하여 놓으면, 그 가격에 도달하면 저절로 매도되는 절차를 이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6. 자신이 뽑은 종목이 일정기간동안 평균적으로 어느 정도를 상승하는지에 대한 믿음이 서야 이렇게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오늘의 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도신호에 대해서  (0) 2023.11.15
11/16~1주 & 챠트 스터디  (1) 2023.11.15
챠트공부 1  (0) 2023.11.15
2023/11/15 ~ 1주 관심종목  (0) 2023.11.14
2. 나의 관심종목과 정리법  (0) 2023.11.14

서 문

목 차

 

1장 주식 투자하기 전에 -알고 준비해야 할 일-

 

100 : 5의 생존률을 통과해야 한다.

? - 知彼知己이면 白戰無敗.

돈이 갑자기 많이 생기면 일어나는 일

작은 부자와 큰 부자

은퇴 후 30년을 어떻게 보낼 것인가?

살아온 생을 돌아보니

 

2장 깔정파의 기본사항 -정신편-

 

깔정파의 기본철학

!

샛바람이 부니

깔정파 실행자는 누구?

깔정파 운용자들에게 부탁하는 말

주식회사란?

희망

 

3장 깔정파 운용을 위한 기본 지식

 

단일봉의 생성과 의미

긴 위꼬리

봉의 겹침의 의미와 적용

1/3 혹은 1/2의 의미

장대양봉의 의미 - 가격과 거래량에서-

장대양봉과 1/2의 의미 결합 1, 2, 3

거래기간---저점에서 5일 지나면 조심하라

첫째 화살표와 둘째 화살표

지표 수치 조정

갭은 채우고야 만다

보조지표

정조준? 산탄공기총?

자산운용

실수

 

4장 깔정파식 관심종목 검색과 선정

 

깔대기식 관심종목 검색 및 선정 과정

관심종목 검색

검색에서 제외 조건

검색 조건식 만들기

관심종목 검색

관심종목 등록/저장

AI의 도움

관심종목 선정 방법

관심종목 정선 절차

1차 파라보릭 매수화살표

재무상태 점검

년봉에서 제거할 종목

관심종목 창 메뉴설정

관심종목의 효과 검증 예

 

5장 정상분포곡선과 매수시점

 

정상분포곡선 투자기간

단일 곡선 혹은 다수 곡선을 볼 것인가?

구간 기울기의 의미

곡선에서 위치에 따른 나의 인격

MO는 정상분포곡선의 모양과 비슷하다

곡선의 A 혹은 B 지점에서 나타나는 현상

곡선의 C 구간에서 나타나는 현상

곡선의 D 지점에서 나타나는 현상

매수시점에서 고려할 점

투자 방법과 기간

전봉 극복

동일한 방법일 때 동일한 결과?

손절과 물타기

매물대와 정상분포곡선

 

6장 파라보릭 매수/매도 시점

 

파라보릭 수치 조정

매수주문 방법

시가 높은 순 배열 후 주문법

시가 높은 순 배열 후 종가 결과 예

파라보릭 매수화살표 기준과 종가 결과 예

 

7장 깔정파 적용 실시방법

 

깔데기식이란?

관심종목 미리 준비한다.

관심종목 선정의 기본사항

깔데기식 종목 검색-정선

정상분포곡선 = 투자기간을 나타낸다.

투자기간 = 상승기

목표가 정하기

매수화살표 확인 매수법

매수종목 선택법

투망식 매수법 효과

시가순 배열 후 ±1대 기준법

개장 5분전 예측 매수 종목선택 방법 1=위에서 순서데로

개장 5분전 예측 매수 종목선택 방법 2 (±1 대 기준)

개장 직후(5분내) 순위 매수 종목선택 방법 = ±1 대 기준

정조준 확인 매수법

장대양봉의 특징과 접목

주봉 확인 + 일봉 확인 매수법

봉의 1/2 접근법: 봉은 겹치면서 진행한다.

A에서 D까지

D지점에서 나타나는 징후

매도가 설정하기

자본금 규모에 따라

깔정파 핵심 요약

 

8장 깔정파 5개 결론

 

1. 상승 + 거래량 많은 종목을 매수하라.

2. 개장직후 시가순 배열 후 제일 위에서 아래로, 1%대 바로 위, 1%대 내 제일 위 종목이 수익 가능한 종목이다.

3. 시가가 높으면 내리기 쉽다.

4. 상승 %대별 중에서 제일 위

5. 단기 접근이 좋다. 1~2=곡선의 1회 상승기

반응형

'<깔정파 주식투자법> 전자책 내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2장 깔정파 기본사항 -정신편-  (0) 2023.12.12
나?  (0) 2023.12.11
100 : 5의 생존율  (2) 2023.12.07
제1장 주식투자히기 전에  (1) 2023.12.07
서문  (0) 2023.12.04

보조지표의 사용

 

 


1.
가격대: 가격이동평균선(5, 10, 20)

                 
                 파라보릭 매수
(신호)(0.01, 0.2)


                 PSAR(0.3, 0.02)

                 MACD cross 강약

2. 거래량

3. MO(MACD OSCILATOR) + MACD

4. PVT

 

 

가격이동평균선과 거래량 지표은 챠트에서 기본으로 제공되고 있다.

 

깔정파에서는 가격대에서 파라보릭 매수(신호)PSAR를 수정하여 사용한다.

 

MACD cross 강약은 현재가격이 강약의 어느 위치에 있는지,

 

강과 약의 범위가 보통 비슷한 면적이어서 강약의 변화시기를 추정하는데 도움된다.

 

 

 

거래량에서는 제공되는 지표 그대로 사용한다.

 

MACD OSCILATOR(이하 MO로 사용함) + MACD를 사용하는데,

 

MO의 모양이 정상분포곡선의 이동모양을 나타내는 것과 비슷해서 이동의 윤곽을 파악하기 위해 사용한다.

 

곡선의 상승중, 하락, 조정 등을 판단하는 보조역할을 한다.

 

여기에 MACD를 덧붙여 사용하면 판단에 더욱 도움이 된다.

 

MACD에는 화살표가 나타나고 있어서

 

가격에서 나타나는 화살표와 보조지표 MACD에서 나타나는 화살표가 일치할 때는 그 정보가 더 신뢰성이 있다.

 

 

 

PVTOBV와 동일한 목적이나, 깔정파에서는 PVT를 사용한다.

 

거대자금(가격 및 거래량에서 장대양봉으로 나타남)이 들어온 후,

 

자금이 더 들어오고 있으냐(상향), 빠져나갔느냐(하향), 기다리고 있느냐(평행)를 판단하는데 사용한다.

 

거대자금이 들어와서 그냥 나가지는 않을 것이고,

 

수익을 내고 나갈 것이기 때문에 이를 따라가면 수익을 낼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다.

 

1차 장대양봉 후 거래량 미미한 수준에서 변동없고, 가격이 일정 부분 하락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1차에는 접근하지 말고,

 

2차 장대양봉이 나타남을 기다리는 것이 시간투자기간(보통 3~9개월)을 줄이는 방법이다.

 

반응형

'깔정파 주식투자법 요약 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월 깔정파 핵심 정리  (1) 2024.11.30
깔정파 요약  (0) 2024.09.27
6. 지표 수치 조정  (0) 2023.11.10
5. 정상분포곡선 이해  (0) 2023.11.10
4. 관심종목 선정 방법  (0) 2023.11.10

지표 수치 조정

 

 

 
 1.
가격: 5, 10, 20

 2. 파라보릭 매수(신호)(0.02, 0.2) (0.01, 0.2)

 3. PSAR(0.02, 0.02) (0.3, 0.02)

 

 

깔정파는 1회 곡선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곡선의 하락기를 거쳐 일정기간의 조정을 거친 후,

 

다시 1차 곡선의 꼭지점에 도달하기까지의 기간인 시간투자기간을 고려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이 종목이 2차 혹은 3차 곡선을 상향으로 그릴지의 여부에 대한 정보가 없고,

 

그 기간에 다른 투자 가능한 종목도 나타나기 마련이기 때문이다.

 

2차 곡선이 나타날 때는 1차 곡선과 동일한 조건에서 대처하면 된다.

 

결과적으로 시간투자기간을 줄이게 되는 이점이 있다.

 

 

 

깔정파는 곡선의 상승기에만 투자하기 때문에 단기투자에 속한다.

 

1회의 곡선의 상승기간은 보통 5~10(1~2)이다.

 

그러므로 가격이동평균선을 복잡하게 여러 개 나타낼 필요가 없다.

 

5, 10, 20일선이면 충분하다. 장기정보는 주봉으로 점검한다.

 

 

매수시점은 파라보릭 매수(신호)(0.02, 0.2)의 빨간화살표를 사용한다.

 

이 화살표가 너무 많이 자주 나타나기 때문에 그 수를 줄이는 방법으로 (0.01, 0.2)로 수치를 조정한다.

 

그렇게 하더라도 화살표의 수가 여러 개 나타나면 보조지표(MO, PVT, 거래량에서 상향)를 활용한다.

 

 

 

매도지점은 PSAR(0.02, 0.2) 파란점을 사용한다.

 

(0.02, 0.2)(0.3, 0.2)로 조정한다.

 

그 결과 PSAR파란점이 더 높은 가격에서 나타나게 되어서 더 높은 가격에 매도할 수 있다.

 

깔정파에서는 양봉의 긴윗꼬리, 음봉, 파란점이 생기는 것을 매도신호로 삼고 있다.

 

 

파라보릭 매도(신호) 화살표는 PSAR 점보다 더 늦게 나타나서 이용하지 않는다.

 

그러나 PSAR을 놓쳤다면, 늦게라도 파라보릭 매도(신호)를 따르는 것이 좋다.

 

 

반응형

'깔정파 주식투자법 요약 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깔정파 요약  (0) 2024.09.27
7. 보조지표의 사용  (0) 2023.11.10
5. 정상분포곡선 이해  (0) 2023.11.10
4. 관심종목 선정 방법  (0) 2023.11.10
3. 깔정파란?  (0) 2023.11.1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