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수화살표가 동시에 가격 및 MACD에서 나타났을 때, 매수하라고 권고하는 것이 원칙이다.

그런데 MACD에서 약간 더 빨리 나타났을 때도 유효한가?

MACD에서 매수화살표는 음에서 양으로 바뀌는 시점이다. 가격에서 매수화살표가 나오는 시점보다

약간 더 빨리 나오는 경우가 많다. 음으로 바뀌지 않고 가격에서 매수화살표가 나오면 이것은 유효한 것으로 

해석해도 좋다. 이때 MACD Osc의 상향이 시작된다.

 <챠트 1>에서 #1은 원칙. #2는 응용이다.

<챠트 2>와 <챠트 3>은 응용 예이다.

 

<챠트 1>

 

<챠트 2>

<챠트 3>

반응형

'챠트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챠트공부 4/30  (0) 2025.04.29
챠트공부 1~  (0) 2025.04.03
25/3/19 비투엔  (0) 2025.03.19
과거는 미래를 보는 거울  (0) 2025.01.24
손실복구 경험  (0) 2024.11.14

 

 

4/29일 경남스틸 종가 챠트이다.

주봉 수년간 움직임이 미미하던 종목이 24/11/29부터 움직임이 시작되어 #1과 #2와 같은 변화를 가져왔다.

일봉 #1'와 #2'는 주봉이 상승한 동일 기간이다.

곡선의 1차 상승기에만 접근했으면, 2차 상승기에서 매도신호만 지켰으면 OK였다.

2차 상승기에서 대량매도(거래량 음봉)이 여러번  생기는 경고신호도 있었다.

최근 1주이상 하한가 몇번에 계속 하락을 지속하고 있는 중이다.

 

4월들어서 간편공식에서 제외종목 전부 첵크하였더니 전혀 검색 종목이 나타나지 않았다. 공매도과열에 첵크한 것을 지우니 이전처럼 검색되는 종목수가 나타났다. 이전 글에서 여러번 언급한 적이 있다. 공매도의 영향이 엄청 크다. 

 

이런 시절일수록 저 높은 꼭대기에서 팔려고 하지말고, 적당수익으로 만족하고, 

신호만 잘 지키면 만사형통하다는 사실을 염두에 두면 좋다.

 

곡선의 C 지점 이상에 와 있는 종목은 접근을 조심할 것을 권한다.

 

 

 

 

 

반응형

'챠트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런 경우?  (0) 2025.05.09
챠트공부 1~  (0) 2025.04.03
25/3/19 비투엔  (0) 2025.03.19
과거는 미래를 보는 거울  (0) 2025.01.24
손실복구 경험  (0) 2024.11.14

이곳에 종목발견시 계속 덧붙일 예정입니다. 일정기간 후에 예측괴 일치도를 점검해 봅시다.

 

 

 

 

1. 산돌  4/2 종가 7540원

반응형

'챠트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런 경우?  (0) 2025.05.09
챠트공부 4/30  (0) 2025.04.29
25/3/19 비투엔  (0) 2025.03.19
과거는 미래를 보는 거울  (0) 2025.01.24
손실복구 경험  (0) 2024.11.14

 

25/3/18 챔피언에서 <이슈> 종목에 잡혔다.

3분봉 #1 지점에서 매수화살표 + 거래량, PVT 보조지표 모두 긍정적이다.

개장초 #2 지점에서 조정 후 3개선 합쳐서 상승신호이나 화살표없다.

1000원 이하짜리는 종목검색에서 제외하였으나, 종가에서 1000원 이상이 되었다.

일봉 #3에서 매수신호 양호하다. 거래량 2차 장대양봉으로 긍정적이다.

일, 주,월, 년봉 모두 장기 하락세이다가 오늘 반전시작인 것 같다. 그러나 장기적으로 유효할지는 모른다.

재무상태도 권할 정도는 아니다.

이런 종목들에서 일시적 급등 후 급락하는 경우가 많다.

정확한 정보가 있으신 분은 장기접근, 그렇지 못한 분은 챠트보고 단기접근. 간이 적으면 접근 X.

 

 

반응형

'챠트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챠트공부 4/30  (0) 2025.04.29
챠트공부 1~  (0) 2025.04.03
과거는 미래를 보는 거울  (0) 2025.01.24
손실복구 경험  (0) 2024.11.14
따라가면서 살 필요가 있을까요? - 봉의 겹침  (0) 2024.11.03

 

 

 

2025/1/24용 관심검색에서 사조씨푸드가 검색되었다.

과거에도 몇번 검색된 경험이 있어서 공부할 자료로 선택하였다.

 

#1, 2,, 3, 4(주봉), 5(일봉) 종가에 빨간색 십자선이 그어져 있다. 검색되어 선정된 경험이 있고,

      과거를 보기 위해 십자 표시를 해 둔다. 나의 과거를 공부해 보는 좋은 자료가 된다.

#1 20선 밑에 있고, 거래량이 없다. 그 후 하향 조정의 기간이 거의 1년간 있었다.

#2와 3에서 검색되었다. 20선을 돌파하였고, 그 후 상당기간 상승하여 거의 200% 이상 수익 가능할 정도였다.

#4(주봉), 5(일봉) 현재: 

          주봉 20선 아래에서 가격 장대양봉으로 20선에 부딪치고 있으며, 거래량은 작은 양봉을 나타낸다.

                  MO(#6)는 상향중이나 음이다. PVT는 평행이다가 약간 고개를 들고 있다.

           일봉은 가격 + 거래량 모두 장대양봉이고, 다른 보조지표도 긍정이다.

모든 지표를 긍정으로 보고, #7(현재 가격봉의 위에서 1/3~1/2 지점)의 가격(5000~5400)에서 매수를 생각한다. 

1/24일 결과는 ?? 장마감 후 적는다. 내일(1/24)이 금요일이고, 긴 설연휴기간이 있어서 음봉을 예상한다.

 

1/24 장마감 후 결과는 위 표와 같다.

시가에서 매수했을 경우, 9%의 수익가능 기회가 있었고,

장기로 갈 경우, 저가 5070원에서 매수할 기회가 있었다.

가격 상승했다가, 하락하여 음봉으로 마감하였다. 아래 긴꼬리가 있어 상승 긍정적이다.

 

<참고도> 사조씨푸드 1/24  9:00 개장직후

1) 개장하자 시가가 어제 종가보다 5.51% 상승 시작하고, 곧바로 고가 15.88% 상승한 후, 죽 하락하여  저가 -11.52%까지

     하락하였다. 이런 경우는 전날 상한가 혹은 많이 상승한 종목에서 흔히 일어나는 현상이다. 

2) 짧은 시간(1분? 30초? 이내)에 이런 경우는 초보자가 수익내기 힘들고 피하는 것이  상책이다.

3) 매수하였다면 적당 수익 챙기고 빨리 빠져 나오는 것이 상책이다. 

4) 결과적으로 하락하여 전봉의 1/3~1/2 지점 이하에서 매수할 기회가 있었다. 

5) 개장초에 많이 오른 종목은 피하거나, 적당 수익 챙기고 빨리 빠져나오는 것이 좋다.

6) 경험상 개장초 시가-저가%가 -0 ~ -1.5 사이의 종목에서 수익나는 경우가 많았다.(종함검증 자료 참조)

 

 

참고자료

 

 

 

 

 

반응형

'챠트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챠트공부 1~  (0) 2025.04.03
25/3/19 비투엔  (0) 2025.03.19
손실복구 경험  (0) 2024.11.14
따라가면서 살 필요가 있을까요? - 봉의 겹침  (0) 2024.11.03
가격대의 반 이하와 이상 10-21  (1) 2024.10.21

 

루미르

24/10/21 상장

#1 10/22 <이슈>에 나옴; 상장 후 2년 안된 종목은 참조할 좋은 자료가 부족하므로 거래를 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나,

              <이슈> 종목에 포함되어 있어서 무심코 매수하였음. 거래가 오르내림이 빨라서, 적당 수익률로 오르면 팔고,

              내리면 다시 사고해서 상당한 수익을 내었음

#2 10/23  의지를 가지고, 대량 매수하였으나, 매수후 하락하여 대폭 손실 매도하게 됨

 

이후 하락기 동안 바닥이 어디인지 확인하기 위해 거래하지 않음. 상장 신주이기 때문에 진바닥이 어디인지 모르나, 반전의 신호가 나오고, 이 종목이 우주선에 장착될 카메라 기술은 세계최고이고, NASA에서 연구비도 받는다는 글이 팟스넷에 올라옴.

 

그동안 이 종목의 1일 등락폭을 연구하고, 3분봉으로 오르내림을 연구하여, 하루에 몇번 정도 사고팔수 있는가를 연구하여 스윙기법을 적용하여 손실을 복구하기로 함. 1일 변동폭이 10~20%로 하루에도 여러번 거래가능하다고 생각했음.(아래 3분봉 참조)

 

11/3 반전시작 및 스윙기법 적용으로 #3~#4까지 매일 2~4회 스윙할 수 있어서 손실 복구외에 상당한 수익가능했음

 

<스윙>에 좋은 종목: 1일 변동폭이 크고, 오르내림이 있는 종목이 좋음.

 

일봉챠트: 상장 첫날 부터 ~ 11/13일까지

A= 기간중 최고가일의 종가;   B= 기간중 최저가;  C= 최고가

  

전봉의 고점과  현재봉의 고점을 긋고, 저점과 저점을 그어서 참고로 함. 이 선을 지지하느냐, 깨느냐에 따라 지지선과 저항선으로 활용함.

 

3분봉: 11/13일 것임.  기존의 매수/매도 신호에 따라 거래해도 1일 2회는 스윙할 기회있었음

#1, 3=상승기     #2, 4=하락기

#5, 6=PVT 상향;   거래량 증가와 PVT 상향 시점을 참조하면 매수시점을 찾는데 도움됨

 

 

 

반응형

'챠트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3/19 비투엔  (0) 2025.03.19
과거는 미래를 보는 거울  (0) 2025.01.24
따라가면서 살 필요가 있을까요? - 봉의 겹침  (0) 2024.11.03
가격대의 반 이하와 이상 10-21  (1) 2024.10.21
종목선택시 고려점 1  (0) 2024.10.19

봉의 겹침

 

그림의 상승기 봉들(6개봉)을 보면, 전봉과 겹치면서 상승하고 있습니다.

 

첫봉(화살표) 이후

두번째 봉은 첫봉의 시가 이하로 내렸다가 상승합니다.

셋째 봉은 두번째 봉의 1/3(윗꼬리 아래 부분)까지 내렸습니다.

넷째, 다섯째 봉도 전봉의 1/3까지 내렸다가 상승하였습니다.

다섯째 봉은 상하로 꼬리가 달렸습니다. 고점도달을 알리는 신호입니다.

여섯째 봉은 음봉으로 긴 윗꼬리가 달렸습니다. 

다음 봉에서 점이 생겼군요. 매도 신호입니다. 늦어도 여기에서 매도해야 합니다.

 

성급하게 매수할 이유가 없습니다. 90% 이상의 봉은 겹치면서 이동합니다.

 

일봉이던 3분봉이던 같은 원리입니다.

 

 

반응형

'챠트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거는 미래를 보는 거울  (0) 2025.01.24
손실복구 경험  (0) 2024.11.14
가격대의 반 이하와 이상 10-21  (1) 2024.10.21
종목선택시 고려점 1  (0) 2024.10.19
특징주 챠트 10-17  (1) 2024.10.17

 

 

 

 

"산이 높으면 골이 깊다" = 증시격언

 

 

 A, B, C, D 공통점 

     가격대 + MACD  매수화살표 발생

 A, B 거래량  A=대량 음봉; B=대량 양봉

 

A, B 와 C, D와의 차이

   가격대 1/2(황색선) 이하에서 시가 시작 여부

 

적용: 매수화살표 발생하더라도 가격대 1/2이하에서 발생시 매수공략

          (산꼭데기에서 사면 내릴 일만 남는다)

반응형

'챠트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실복구 경험  (0) 2024.11.14
따라가면서 살 필요가 있을까요? - 봉의 겹침  (0) 2024.11.03
종목선택시 고려점 1  (0) 2024.10.19
특징주 챠트 10-17  (1) 2024.10.17
옛 부자와 지금 부자  (0) 2024.09.2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