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 챠트에서 #1, 2, 3곡선이 있는데,  #3 곡선은 새로 시작 중입니다. #3의 첫봉이 힘차게 뻗어서 모양은 좋으나  얼마나 갈지 알수 없습니다.

깔정파에서는 #1의 A~D까지를 투자기간으로 생각합니다. D이후 #3 곡선의 정점/ 그 이후 몇 100% 가더라도

정보를 가지지 못한 사람으로서는#1에서 #3 이후 몇 100%라도 기다리지 못하고,  #1의 A~D까지만 만족하고, 투자기간으로 삽습니다. 그 이후는 또 신호나오면 따라가면 됩니다. 

D지점에서 #3 곡선 시발점까지의 기간은 약 1년입니다. 그 기간에 다른 종목을 다루면 됩니다.

정보없고 자본적고 간이 작은 사람이 택하는 한 방법입니다.   

오늘 한전산업 3분봉을 보고 회원이 문의를 해서 같이 공부를 해 봅시다.

 

#1  MACD 매수화살표 왔는데 왜 매수하면 안되나요?

     3분봉이든 일봉이든 원리는 동일합니다.

    분봉 20선이 하향중입니다. 이 지점에서 20선을 뚫고 올라갈지 부딪치고 내려갈지(지지/저항선) 모릅니다.

    이 지점에서 매수한다면 올라갈 것이라고 예측하지만, 여러 요인이 긍정적이지 않습니다.

    거래량 증가가 없습니다.

    PVT 상향 증거도 없습니다.

 

#2 지점:가격 매수화살표 나왔으나, MACD 매수화살표 없고, 거래량 증가, PVT 상향 증거 없습니다.

 

#3 지점: 가격 +  MACD 동시 매수화살표 나왔으나,  거래량 증가, PVT 상향 증거 없습니다.

#4 지점: 가격 +  MACD 동시 매수화살표 나왔으나,  거래량 증가, PVT 상향 증거 없습니다.

 

#3, 4 지점이 유혹을 줍니다. 그러나 거래량이 증가하지 않으면 올라가지 못합니다. 

     

일봉에서는 단기 매도신호가 나왔습니다. 이 종목은 일봉에서 매수화살표 확인 후 접근하시기 바랍니다.

매도신호는 <양봉의 긴윗꼬리, 음봉발생, 파브 파란점>입니다. 일봉에서 매도신호 나오면, 3분봉 아무리 좋다고 해도 접근을 삼가해야 합니다.

 

누가 이런 수익을 차지할 수 있을까?

 

5/21 간편검색에서 비올이 검색되었다. 주봉을 살펴보다가 공부할 점이 발견되어 다루어 보았다.

주봉 #1지점에서 #3지점 이상까지 가져 갈 사람은 어떤 사람일까?

 

 

2024/5/21 비올 챠트

 

주봉 #1 지점

    2022/11/18 가격 2,269 매수화살표

주봉 #2 지점

   2023/11/17 가격 7,466 매수화살표

주봉 #3 지점

   2024/3/15 매수화살표 가격 11,776(2024/5/17현재)

일봉:  여느 종목과 마찬가지로 상승과 하락 곡선을 그리면서 진행하였음

 

(11,776 - 2,269) / 2,269 x 100=418% 상승

기간 : 16개월

 

누가 이런 수익을 차지할 수 있는가?

1. 바른 정보와 믿음

2. 매수/매도 싸인 믿음

3. PVT 아직도 상승중

 

바른 정보는 대단히 중요하다. 그러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사람은 0.001%의 사람이 가능할 것이다. 소위 말해서 최측근만이 가능할 것이다. 주식시장만큼 정보 주겠다고 자기 돈 써가면서 매일 전화나 문자로 알려주겠다는 사람들이 많은 곳이 없다. 믿음이 가는 정보가 드문 곳이다. 하찮은 나에게까지 그 정보를 주겠다는 정보는 이미 정보가 아니다.

 

나는 자기 힘으로 종목을 선택하고, 매수시점, 매도시점을 찾아내는 힘을 기르라는 뜻을 가지고 이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다. 배울 것이 너무나 많다. 마치 저 하늘의 반짝이는 별들의 운행하는 원리를 찾으려고 하는 행동과 같다.

 

그래도 몇 년간의 이런저런 현상들을 관찰하고 연구한 결과 무질서중 질서를 찾은 몇가지 징후들을 깔정파 투자법으로 압축시키려고 노력하고 있다. 아직 미진한 점이 많으나 이제까지 찾은 신호들만 잘 지키면 성공확률을 좀 높이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믿는다. 

 

투자법이 없어서 투자를 하지 못하는 것이 아니다. 1천만명이 투자한다면 1천만 가지의 투자법이 있다. 어느 방법이 수익확률을 높혀 주느냐 하는 것이 문제이자 목표이다. 어느 방법이 좋다 나쁘다 비평할 필요도 없다. 좋은 점들을 취사선택하는 혜안을 가지면 된다.

 

그많은 방법중에 아직까지 극복하지 못한 것이 있다. 욕심이다. 잘 해나가다가 어느 순간 제어하지 못해 이제까지의 성공을 한순간에 망쳐 버리는 것이 욕심이다.  욕심이라는 요인은 누구도 도와주지 못한다. 자신이 닦고 정진하고 극복해야 할 큰 요인이라는 점에는 틀림없다.

 

'챠트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1회의 곡선만  (0) 2024.06.21
6/17 챠트공부  (0) 2024.06.17
주봉과 일봉 관계  (0) 2024.05.13
주봉과 거래량의 역할  (0) 2024.04.23
시가순 배열 후 시가상승률대별 바로 위 종목 매수  (0) 2024.03.28

 

 

주봉 1개봉 = 일봉 5개봉이 합쳐진 것임

따라서 주봉 첫봉(현재봉)에 매수신호(가격+MACD 매수화살표)가 있다면 적어도 몇주간의 상승을 예측

(곡선의 1회 상승기를 5~10봉으로 생각하면 적어도 한달 이상 기간이 됨)

다른 종목에서도 일관된 결과가 가능하면 실천해 보세요.

 

 


5/16용 관심종목에서 주봉가격+MACD에서 매수화살표 발생시점과 그 이후 

 

 

 

 

 

 

주봉 #2 = 일봉 #1  2023/6/23

 

가격이 계속 상승하는 현상== 거래량 장대양봉 이후 거래량 양봉으로 이어진다. 주봉 #1, 3; 일봉 #1

가격 + MACD 매수화살표 나타나더라도 거래량이 없으면 계속 상승하지 못한다. 일봉 #2, #3

일봉으로 전고점 목표가를 잡지 못할 경우에는 주봉을  통하여 전고점을 알아보고, 목표가를 가늠한다.

 

 

 

주봉 및 일봉에서 전고점에 이르렀다.

전고점을 돌파할 수 있을 것인가?

거래량이 주봉 및 일봉에서 여러번 발생했으나, 거기에 상응하는 음봉이 발생하지 않았다.

PVT는 계단식 상승을 하고 있다.

이번에는 전고점을 돌파할 것으로 예측해 본다.

 

이 기법은 개별적으로 여러번 실시하여 긍정적인 결과를 얻을 때 사용하세요.

3300개 이상의 상장기업중 10여개 종목으로 압축하고,

1. 그 종목 중 시가가 상승하고 거래량이 많은 종목----- 이제까지 실험하여 왔습니다.

2. ± 1% 대의 종목----- 4월 실험합니다.

    ± 1% 대의 낮은 가격대에서 시작하니, 시간적 여유가 있다는 장점이 있다.

 

어차피 매수는 상승할 것이라는 예측과 결과의 일치도가 어느 정도이냐는 것입니다

80% 확률이라면 대박아니겠습니까? 그중 1~2개 종목을 집중해서 100%로 가는 길을 찾는 것입니다.

 

 

 

3분봉 이용시  시가가  ± 1% 대에서 시작하는 종목 이용하기 기법

 

1.  시가상승률이 높게 시작하는 종목은 내리기 쉽고, 낮은 종목은 오르는 방향을 취하는 경향이 있다(그림참조)

     따라서 낮은 종목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2. 시가상승률이 낮은 종목이란?

   시가순 정열 후  ± 1% 대 (1.99 ~ -1.99 % 사이)에 있는 종목를 말한다.

 

3. 시가상승률대를 다음과 같이 분류하고, 각 상승률대의 바로 위 종목을 매수종목으로 선택한다.

    (제일 위(1.00~1.99%대)를 제외하면, 그 상승률대에서 제일 아래 종목과 일치한다.)

 

4. 결과 검증 

1) 검증자료 2024/3/27  공개자료

       *표는 -1.99대의 제일 아래이자 -2.00대의 바로 위 종목이다. 가장 많아 내린 것이 장점이 될 수 있다.

 

2) 2024/3/28일 공개 자료

 

3) 2024/3/29일 공개자료

3/29일 선택된 6개 종목의 일봉입니다.

6개 종목 중 1~2개 종목으로 더 압축할 때는 

1. 일봉 상승이 이미 많이 진행된은 것 (예; #2, 3) 은 피합니다.

2. 아직 20선을 넘지 못한 것(예; #5)을 피합니다.

 이 두가지 사항은 일반적으로 지켜야 할 기본 사항입니다.

 

 

 

 

 

 

 

'챠트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봉과 일봉 관계  (0) 2024.05.13
주봉과 거래량의 역할  (0) 2024.04.23
긴위꼬리와 강약의 결합 의미해석  (0) 2024.03.16
갭은 메우고야 만다  (0) 2024.03.16
강약 보조지표 이용  (0) 2024.03.16

긴위꼬리와 강약의 결합 의미해석

#1 강영역 + 바닥에서 긴위꼬리 = 상승의 예비동작

#2  강영억 1/2 지남 = 하락 예비동작

#3  약영역 1/2? 지남 = 강영역으로 변화  예상, 매수화살표 나타남, 상승 긍정 해석

#4  강영역 1/2 지남, 가격대 곡선의 C, D지점 도달, 음봉발생, 하락 예상.

긴위꼬리 봉이 바닥이냐, 꼭지냐? 강약의 1/2 이전이냐 이후냐? 로 판단

#3의 향배를 3/18이후 검증해 봅니다.(현 챠트 유진기업 24/3/15 종가 자료임)

 

 

 

갭은 2층없는 3층이다. 불안하다. 

 

 

차이점을 알면 수익으로 연결됩니다.

개인마다 매수가가 다르기 때문에 시가를 기준으로 합니다. 시가보다 더 낮게/더 높게 매수할 수도 있습니다.

마찬가지 이유로 최고가를 기준으로 고가%-시가%를 기준으로 최고가능 수익률로 계산합니다. 

개인마다 차이는 당연히 나타납니다.

최고에 이르기까지는 많은 실패와 경험이 필요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