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으로 돈 번 사례들

 

다음 사례들은 내 주위에서 들어 본 사례들이다.

 

사례 1: 정확한 정보와 잊고 오래 기다림

친한 친구의 딸이 신생 기업에 입사하였다. 입사해 보니 이 회사의 장래가 밝음을 알게 되고, 이 회사의 주식을 살 것을 주위 가까운 지인들에게 권유하였다. 주식이란 것이 무엇인지, 어떻게 투자를 해야 하는지도 몰랐다. 친구의 딸이 하도 권하는 바람에 쌀 때 몇 천 주를 산 후, 그 주식을 산 것도 잊고 10여 년을 보냈다. 가정 형편상 돈을 써야 할 일이 생겨 그 주식이 생각나 확인해 보니 15억으로 변해 있었다. 그 회사의 장래가 발전할 희망이 더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주식을 팔지 않고 더 상승을 기대하고 팔지 않고 기다리고 있다.

 

좋은 주식을 사서 오래 기다리는 가장 추천할 만한 투자법이다. 여기에는 바른 정보와 오래 참고 기다리는 인내심이 중요하다.

 

사례 2: 행운

국민주 공모라는 시대가 있었다. 대표적인 것이 포철(POSCO)과 한통프리텔(KT)이었다. 공모주를 받기도 어렵지만 받을 수 있는 수도 미미하였다. 공모가 이루어지고 상장되기 전에 신문 삽지에 한통프리텔주식을 팔겠다는 광고가 있었다. 몇 천원에 몇 천주를 샀다. 몇 년 기다려야겠지 하고 생각했으나, 몇 달 지나지 않아 상장되었다. 날마다 상한가를 쳤고, 신문기사에는 100, 200만까지 예측하였다. 실제로는 50만 가까이 가니 하락세로 변하여 25만까지 내렸다. 10억을 벌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신문 삽지 광고를 만나고, 오래 기다리지 않아 상장되는 행운이 있었다.

 

사례 3: 한 놈만 패기

증권사 친구의 권유로 종목을 하나 추천받았다. 현재 재무제표 상으로는 거래를 권할 수 없는 종목이나, 장래 예측은 밝다는 이유였다. 주식이란 소문만으로 오르내림이 큰 특징이 있다. 친구가 권한 목표가에 이르기 전에 수익나면 팔고, 하향하여 조정받으면 사고 해서 친구보다 먼저 행동하는 그 종목의 선수가 되었다.

 

믿을 수 있는 한 종목과 오르내림의 변화 주기를 관찰하고 행동하는 방식이다.

 

사례 4: 끼있는 놈 돌려가기

끼있고 믿을 수 있는 종목 10개 이하를 관심종목으로 두고, 그 종목들만 돌아가면서 거래하는 방식이다. 유효기간이 지났다고 생각되는 종목은 빼버리고, 그 대신 다른 종목으로 교체하는 방식이다. 관심종목 수는 일정하다.

 

주식이란 항상 오르내림이 있고, 그 흐름을 소수 종목으로 집약시키는 방식이다.

 

 

 

반응형

'증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꿈을 먹고 산다-2  (0) 2024.03.23
3월  (0) 2024.03.01
2/7 매일경제 기사  (0) 2024.02.07
하루 수익율은 얼마면 좋을까?  (0) 2023.11.23

<참고>

2024. 8. 20 종가가 681원입니다. 자기만의 투자법을 가진다는 것이 얼마나 소중한 것인지를 생각해 봅니다.

 

 

지난 해 5월과 7월 삼부토건의 상한가 상승을 보면서 올린 글의 제목이다.

오늘 종목을 검색하던 중 생각나 삼부토건의 주가 변화를 훑터 보았다.

지난 해 5월  1300원대에서 7월 5800원대 최고치에서 현재(24/3/22) 종가 2050원이었다.

+400%, -350%를 왔다갔다 했다. 

 

꿈을 먹고 사는 곳이라지만, 꿈에 취해 있으면 큰일이다.

그런 종목에도 정상분포곡선의 원리와 매도싸인만 적용했으면 손해는 없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아래 글은 지난 7월에 올린 글이다.>

꿈을 먹고 산다.

 

지난 5월에 있었던 일이다.


수년간 바닥을 기던 <삼부토건>이 금년 5월 중순부터 슬슬 오르더니,

 

7월 상한가를 몇 번 쳤다. 9월에도 상한가를 쳤다. 

 

우크라이나 재건이라는 이유였다.

 

전쟁이 끝나지도 않았는데

 

전쟁이 언제 끝날지, 

 

끝나고 나서 삼부토건이 수많은 유명 국제 회사들 중에서 재건에 참여할 수 있을지도 모르는데

 

어찌 상한가를 여러 번 치닫을 수 있는지? 

 

앞으로 이런 일은 전쟁 끝나기 전에 몇 번 더 있을 것이다.


꿈을 먹고 사는 곳이 증시라는데, 현실이 될지 꿈으로 끝날지도 모르고 달려드는 곳이다.

 

 
 
반응형

'증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으로 돈 번 사례들  (0) 2024.08.03
3월  (0) 2024.03.01
2/7 매일경제 기사  (0) 2024.02.07
하루 수익율은 얼마면 좋을까?  (0) 2023.11.23

 

3월 시작입니다.

3월의 꽃을 찾으니 튤립이 나오네요.

튤립은 증시에 전설적인 꽃이지요.

 

3월을 맞이하여 

새로운 마음가짐으로 

꿈의 실현을 향하여

정진해 봅시다.

 

3월의 실천목표는 신호

"확인매수하고

확인매도하자"

 

 

 

 

반응형

'증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으로 돈 번 사례들  (0) 2024.08.03
꿈을 먹고 산다-2  (0) 2024.03.23
2/7 매일경제 기사  (0) 2024.02.07
하루 수익율은 얼마면 좋을까?  (0) 2023.11.23

 

깔정파 회원들 하루하루 착실하게 원칙에 맞쳐 가면 됩니다.

 

반응형

'증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으로 돈 번 사례들  (0) 2024.08.03
꿈을 먹고 산다-2  (0) 2024.03.23
3월  (0) 2024.03.01
하루 수익율은 얼마면 좋을까?  (0) 2023.11.23

 

 

하루 수익율은 얼마면 좋을까?

 

요즘 이자율 상승문제로 빚이 있는 국민은 우울하다.

특히 집값 상승할 것으로 예상하고, 주택담보로 대출받은 경우는 더욱 그러하다.

집값은 산 값에 비해 더 내렸고, 이자율은 오르니 월급쟁이들은 죽을 맛이라고 아우성이다.

젊은층의 경우는 임계수위를 벗어났으니, 국가가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소리도 나온다.

 

이런 와중에 주식으로 수익을 내는 수익율을 말하려니 마음이 무겁다.

어느 은행의 1~2년 정기예금의 이율을 알아보니  예금종류에 따라 다르나, 년이율 2.65~4.05%이다.

가장 높은 이율이 4.05%이니, 주식으로 하루 3%를 목표한다고 하면 어떻게 생각할까?

 

물론 95%의 주식투자자가 손해를 본다고 한다. 그래도 수익낼 사람은 내고 있다. 

주위의 많은 사람들은 주식투자한다고 하면, 별난 사람, 못난 사람 취급받기 일쑤이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나는 공부하고 주식투자하라고 권한다.

 

주식의 근본은 돕는 자의 입장이다. 좋은 사업 아이디어는 있으나, 사업자금은 없으니 주주를 모아 사업하고,

그 고마움을 배당으로 보답하는 서로를 돕고 감사표시하는 것이 주식회사의 근본이다. 이런 와중에 돈이 필요해서 주권을 사고팔고 하는 시장이 주식시장이다. 어쨌던 돕는 자임에 틀림없다.

 

어릴적 시골동네 아저씨가 나에게 "OO야! 농민이 도적놈이야. 왜요? 벼이삭을 보거라. 벼 한알 심었는데  100알 이상 열리지 않니? 어떤 장사를 해서 100배 이상 수익을 낼 수 있니?"라고 한 말씀이 아직도 선하다.

열심히 일해서 백배 천배 내면 좋다. 노력의 댓가이다. 그러나 노력하지 않은 수익은? 답: 도적놈.

 

주식도 공부해야 한다. 고수들이 많은 곳이다. 

깔정파는 "부자들을 따라가라"는 것이다. 그래서 거래량 200만주 이상인 종목을 선택하라는 것이다.

회원중에 5% 먹고 팔았더니, 핀 뒤에 몇 %까지 더 올랐다, 상한가갔다는 아쉬움을 말한다.

그러면 나는 은행 1년 이자를 하루에 벌었으니 행복하고, 내 물건 가져간 사람이 잘 되었으니 행복하지 않느냐고 한다. 

 

공부하면 이런 행복은 매일 있을 수 있다.

 

반응형

'증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으로 돈 번 사례들  (0) 2024.08.03
꿈을 먹고 산다-2  (0) 2024.03.23
3월  (0) 2024.03.01
2/7 매일경제 기사  (0) 2024.02.07

+ Recent posts